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5

임산부 보호와 출산 전후 휴가에 대한 근로기준법 내용 정리 근로기준법 중에서 임산부 보호와 출산 전후 휴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근로기준법 제74조 (임산부의 보호)근로기준법 제74조 (임산부의 보호)내용이 많아 이미지로 대체합니다.임신 출산한 근로자에 대한 보호 제도임신 출산한 근로자에 대한 보호 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산 전후 휴가, 유 사산 휴가- 임신 중 시간외 근로 금지 및 쉬운 업무로의 변경 보장- 임신 중 근로자 요구에 따른 근로 시간 단축 및 업무 시작, 종료 시간의 변경 보장- 출산 전 후 휴가 후 근로자의 동일 업무 또는 동등 수준 입금 지급 직부 복귀 보장임산부 출산 전후 휴가(대상)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 출산 전후 휴가는 근로자의 신청 절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거이므로 근로자가 임신과 출산을 했다면 휴가를 포기하는 의사를.. 2025. 5. 8.
연소자 및 여성의 야간 및 휴일 근로 근로기준법 중에서 연소자 및 여성의 야간 및 휴일 근로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앞서 포스팅한 휴일 근로와 함께 보시면 인사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70조 (야간 근로와 휴일 근로의 제한)근로기준법 제70조 야간 근로와 휴일 근로의 제한① 사용자는 18세 이상의 여성을 오후 10시부 오전 6시까지의 시간 및 휴일에 근로시키려면 그 근로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벌칙(제110조) :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② 사용자는 임산부와 18세 미만자를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의 시간 및 휴일에 근로시키지 못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1. 18세 미만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2. 산후 1년이 .. 2025. 5. 3.
근로기준법상 연차 유급 휴가 관련 내용 정리 (2025년) 근로기준법 중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이자 민감한 내용 중에 하나가 바로 연차입니다.연차 유급 휴가에 대해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 유급 휴가)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 유급 휴가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② 사용자는 계쏙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③ 삭제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 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 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 2025. 4. 28.
근로기준법 상 유급 휴일, 주휴 수당 관련 내용 정리 요즘처럼 경기가 어려울때 유급 휴일에 대해서 민감한 기업들이 많습니다.유급 휴일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 (휴일)근로기준법 제55조 휴일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②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휴일을 유급으로 보장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 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 특정한 근로일로 대체할 수 있다.1. 상시 300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 4조에 따른 공공기관, 지방공기업법 제49조 및 같은 법 제76조에 따른 지방 공사 및 지방공단,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정부투자기관이 자본금의 2분의 1 이상을 출자하거나 기본 재산의 2분의 1 이상을 출연한 기관, 단체와 .. 2025. 4.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