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권위 효과와 유사성의 원리, 심리학에서 말하는 반감가설

by 꽃하영 2024. 2. 29.
728x90
반응형

심리학의 효과를 보면 우리가 행동할 때 그래서 그랬구나하면서 고개를 끄덕이게 됩니다.

어떤 효과, 어떤 효과, 많은 효과들이 많지만 기억하긴 어려울 수 있어도 이럴 때 하나씩 알아두면 언젠가 꼭 써먹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난 글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의 3요소를 보았는데 이 글에서는 권위 효과와 유사성의 원리, 심리학에서 말하는 반감가설이 무엇인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권위 효과(Authority Effect)

귄위는 단어의 뜻에서 알 수 있듯이 권위, 권력, 능력을 의미합니다.

권위를 상징하는 옷을 입으면 사람들이 그 옷을 보고 행동이나 태도를 바꾸는 것에서 나온 심리학 효과입니다.

군인이 제복을 입고 생활할 때 어깨에 계급을 보면 행동과 태도를 바꾸게 됩니다. 계급에서 오는 권위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사극을 보면 관료들의 옷이 다릅니다. 따라서 옷을 보고서 계급을 알 수 있고 따라서 권위 효과에 따라 아랫 사람들은 태도를 바꿉니다. 생김새나 입은 옷, 헤어스타일, 들고 다니는 가방이나 악세사리 등으로 우리들은 그 사람의 재력도 짐작할 수 있고 한 편으로 나와 상대의 위치도 가늠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때로 이런 권위 효과를 역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권력을 쥐려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런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권위 효과를 누리려면 권위에 맞게 갖추어야 합니다. 

 

영업하는 사람들을 보면 좋은 차를 타고 좋은 옷을 입는 이유가 권위 효과 때문입니다.

잘 나가는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입니다.

유사성의 원리(Principle of Similarity)

유사성의 원리는 너무 쉬운 심리학 효과입니다.

비슷한 점을 가지고 있는 사람끼리 호감을 느끼는 심리학 용어입니다. 

우리 한자에는 유유상종, 동병상련이라는 말이 있듯이 서양도 동일하다고 보면 됩니다. 

 

끼리끼리 모인다는 말을 부정할 수 없는 것이 살다보면 살아가게 되는 동네도 영향을 주고, 입는 옷이나 다니는 직장이나 모든 면에서 유사성의 원리가 적용됩니다. 뱁새가 황새를 따라가기 위해서 수준에 맞지 않게 무리를 할 때도 있지만 무리를 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해본다면 사람이 살아가는 원리는 유사성의 원리에 따라 살아가게 될 때가 많습니다. 

 

지금 내 곁에 있는 친구, 나와 함께 자주 만나는 사람, 내 연인, 내가 다니는 직장, 나의 소득, 나의 취미 등 많은 점을 곰곰히 생각해보면 유사성의 원리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들은 유사성의 원리에 따라 나와 비슷한 상황에 있는 사람에게 호감을 느낄 확률이 높습니다.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비슷한 상황에 있으면 위로도 되고 격려도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습니다. 

 

반감가설(Repulsion Hypotheses)

유유상종, 동병상련은 나와 비슷한 점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는 심리입니다. 

비슷한 사람을 좋아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비슷한 사람을 만나면 자신의 삶의 방식이나 태도가 옳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사는 것이 비슷하니 정당하다고 판단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비슷한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는 것은 상대의 행동이 예측이 되기 때문입니다. 알뜰살뜰하게 사는 두 사람이 모이면 서로가 절약하는 것을 알게 되니 행동이 예측이 되지만 전혀 다른 두 사람이 모이면 예측이 되지 않아 다툼과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사람에게 호감을 느낀다면 반대로 다른 사람에게 이질감을 느끼게 됩니다. 

심리학에서는 나와 공통점이 없는 상대에게 느끼는 반감을 반감가설(Repulsion Hypotheses)라고 합니다. 

동물들은 자신과 다른 종이 나타나면 경계합니다.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나와 다르면 반감이 선뜻 들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