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67

근로자 퇴직시 금품 청산 관련 근로기준법 규정과 주의사항 정리 초보 사장님들을 위해 알아야 할 인사노무를 정리하고 있습니다.이 번엔 근로자 퇴직 시 금품 청산 관련 근로기준법 규정과 주의 사항을 정리해보았습니다.근로기준법 제36조근로기준법 제36조 금품 청산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에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벌칙(제109조)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금품 청산을 해야하는 이유근로자가 퇴직 또는 사망한 경우에 당해 근로자의 권리에 속하는 금품을 사업주가 신속하게 지급하지 않는다면 근로자 또는 유족의 생활이 곤란하게 되므로 이를 예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 2025. 4. 10.
보관해야 할 근로 관련 서류와 임금 대장 주의 사항 정리 초보 사장님들을 위해 보관 해야 할 근로 관련 서류와 임금 대장 주의 사항을 정리해보았습니다.5인 미만, 5인 이상 사업장 근로 관련된 내용은 많은데 이렇게 디테일하게 하나하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근로기준법 제42조근로기준법 제42조 계약 서류의 보존사용자는 근로자명부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근로계약에 관한 중요한 서류를 3년간 보존하여야 한다.과태료(제116조)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사용자는 분쟁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근로자명부, 근로계약서, 임금 대장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근로계약에 관한 중요한 서류를 작성하여 3년간 보존해야 합니다. 이 서류들은 향후 노사간 분쟁의 발생을 예방 또는 해결하는데 필수적인 자료로서 근로자의 권익보호화 경영상 리스크 해소에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보관해야 .. 2025. 4. 8.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의 정의와 근로 계약 시 주의사항 초보 사장님들을 위한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의 정의와 근로 계약 시 주의사항 정리해보았습니다.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근로기준법 제17조(근로조건의 명시)① 사용자는 기간제 근로자 또는 단시간 근로자와 근로 계약을 체결하는 때에는 다음 각 호의 모든 사항을 서면으로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 6호는 단시간 근로자에 한정한다.1. 근로계약기간에 관한 사항2. 근로시간, 휴게에 관한 사항3. 임금의 구성항목, 계산방법 및 지불방법에 관한 사항4. 휴일, 휴가에 관한 사항5. 취업의 장소와 종사하여야 할 업무에 관한 사항6.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 시간 [과태료(제24조)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기간제 근로자 및 단시간 근로자란?(1) 기간제 근로자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 2025. 4. 2.
초보 사장님들을 위한 근로계약서 작성과 근로계약 체결 내용 초보 사장님들을 위한 근로계약서와 근로계약 체결 시 주의해야 할 내용을 정리했습니다.경기가 어려워서 채용이 어렵지만 그래도 채용할 때 중요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근로계약서 관련 근로기준법근로기준법 제17조(근로조건의 명시)① 사용자는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에 근로자에게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명시하여야 한다. 근로계약 체결 후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1. 임금2. 소정근로시간3. 제55조에 따른 휴일4. 제60조에 따른 연차 유급휴가5. 그 밖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근로조건② 사용자는 제1항제1호와 관련한 임금의 구성항목, 계산방법, 지급방법 및 제2호부터 제4호까지의 사항이 명시된 서면(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전자문서를 포함한다)을 근로자에게 교부하여야.. 2025. 4.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