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78 중소기업을 위한 연장, 야간 및 휴일 근로 관련 근로기준법 내용 정리 중소기업에서 민감한 문제가 연장, 야간 및 휴일 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과거에는 따블, 따따블로 임금을 주었다고 해서 수당 관련된 내용을 안다 모른다 말이 많았던 내용입니다. 정리해보았습니다.근로기준법 제56조 (연장 야간 및 휴일 근로)근로기준법 제56조 연장 야간 및 휴일 근로①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 제59조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금액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1.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 : 통상임금의 100분의 502. 8시간을 초과한 휴일근로 : 통상임금의 100분의 100③ 사용자는 야.. 2025. 4. 22. 중소기업, 창업기업의 휴업 수당 관련 규정 초보 사장님들을 위해 알아야 할 인사노무를 정리하고 있습니다.이 번엔 임금 지급 내용과 임금 명세서 관련 내용입니다.근로기준법 제46조 (휴업수당)근로기준법 제46조 휴업수당①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휴업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휴업기간 동안 근로자에게 평균입금의 100분의 70이상의 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평균입금의 100분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 통상임금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상임금을 휴업수당으로 지급할 수 있다. 벌칙(제109조)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휴업의 정의와 휴업수당휴업이란,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하려 하지만 그 의사에 반하여 근로제공이 불가능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노무수령이 거부된 경우를 의미합니다. 휴업수당이란,근로자가 자신이 아닌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근로를 .. 2025. 4. 20. 초보 사장이 알아야 할 임금 지급과 임금 명세서 관련 근로기준법 초보 사장님들을 위해 알아야 할 인사노무를 정리하고 있습니다.이 번엔 임금 지급 내용과 임금 명세서 관련 내용입니다. 근로기준법 제43조 (임금 지급)근로기준법 제43조 임금 지급①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그 전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 또는 단체협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의 일부를 공제하거나 통화 이외의 것으로 지급할 수 있다.② 임금은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임시로 지급하는 임금, 수당,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것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임금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벌칙 (제109조)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임금 지급 관련하여 알아야 할 내용(1) 통화 지급의 원칙임금은 법령이나 단체협약에 다른 방식.. 2025. 4. 15. 근로자 퇴직시 금품 청산 관련 근로기준법 규정과 주의사항 정리 초보 사장님들을 위해 알아야 할 인사노무를 정리하고 있습니다.이 번엔 근로자 퇴직 시 금품 청산 관련 근로기준법 규정과 주의 사항을 정리해보았습니다.근로기준법 제36조근로기준법 제36조 금품 청산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에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벌칙(제109조)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금품 청산을 해야하는 이유근로자가 퇴직 또는 사망한 경우에 당해 근로자의 권리에 속하는 금품을 사업주가 신속하게 지급하지 않는다면 근로자 또는 유족의 생활이 곤란하게 되므로 이를 예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 2025. 4. 10. 이전 1 2 3 4 5 6 ··· 2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