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77 문화의 특징과 문화의 가치 측정, 소비자 행동론에서의 사회계층의 의미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고 브랜드에 대해 호감을 가지는 일련의 행위는 문화적인 요소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우리나라가 마늘 소비가 높은 이유는 문화적인 이유가 있으며, 매운 음식을 좋아하는 것도 이유가 있습니다. 문화는 소비자 행동을 유추하고 분석하며 파악하는데 매우 큰 요소이기 때문에 글에서는 문화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문화와 더불어 사회계층이 소비자 행동 측면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문화의 정의 문화란 사회적으로 학습되고 사회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되는 모든 것을 말합니다. 그 사회의 인성, 총체라고도 합니다. 문화의 특징 문화는 욕구충족의 기준이 되며 규범을 제공합니다. 문화는 학습된다. (공식, 비공식, 기술적 학습) 문화는 공유된다. 문화는 지속적인 동시에 동태적이다. 문화.. 2024. 4. 13. 소비자 행동론에서 말하는 개성과 라이프 스타일 지난 글에서는 학습을 살펴보았습니다. 소비자 행동론에서 말하는 학습은 스터디, 공부와 다르다고 말씀드렸는데 학습과 학습의 여러 이론을 통해서 소비자가 대안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 이해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 번에는 개성과 라이프스타일에 대해서 정리해봅니다. 소비자 행동을 분석하는 것에 있어서 개성과 라이프스타일은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어떤 점에서 중요한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겠습니다. 개성(Personality) 개성이란 환경적 자극에 대해 비교적 일관성있고 지속적인 반응을 가져오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입니다. 개성에 관한 이론 개성에 관한 이론으로 정신분석이론, 사회심리이론 등이 있습니다. 정신분석이론(Psychoanalytic Theory)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입니다. 프로이트는 .. 2024. 4. 11. 소비자 행동의 위계 - 학습의 의미와 학습 관련 이론 학습은 우리가 알고 있는 공부의 의미이지만 소비자 행동론에서는 학습이 다른 의미로 사용됩니다. 학습은 소비자가 대안을 선택하는 의사결정과정을 가지는 과정을 의미하며 학습은 인지적 학습과 행동주의적 학습으로 나뉩니다. 지난 글에서는 태도 이론을 모두 살펴보았는데 이 글에서는 소비자 행동의 위계 중 학습의 의미와 학습 관련 이론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학습(Study, Learning)의 의의 학습이란 소비자가 제품의 직접 경험이나 사용관찰, 외부 정보에 의해 그 제품에 대한 기존의 신념,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가져와 특정 대안을 선택하는 의사결정과정을 가지는 것입니다. 학습은 인지적 학습과 행동주의적 학습으로 나뉘는데 인지적 학습은 사고과정에 의한 학습, 의사결정과정, 정보처리과정에서도 일어날 수 있으.. 2024. 4. 10. 정교화 가능성 모델과 태도 변화 관련 이론 정리 태도 이론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태도에 대한 소비자 행동 관점에서의 내용을 살펴보고 있는데 지난 글은 태도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보았다고 이 글에서는 정교화 가능성 모델과 태도 변화 관련 이론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정교화 가능성 모델과 태도 변화 관련 이론은 대학 시험에도 단골로 등장하는 내용이며 여러 자격 시험에서도 단골로 등장하는 내용입니다. 또한 소비자 행동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내용이므로 요약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교화 가능성 모델(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의 의의 태도 형성 과정은 소비자가 정보를 처리하는 노력의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정보 처리의 노력 정도는 소비자의 동기와 능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서는 소비자가 정보를 처리하.. 2024. 4. 9.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