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40 콘텐츠 IP의 비즈니스 모델은 무엇일까? 콘텐츠 지식재산권을 콘텐츠 IP라고 말합니다. 콘텐츠 IP가 무엇인지 지난 글에서 살펴보았는데 IP의 경제적 가치와 콘텐츠 IP 그리고 콘텐츠 IP의 비즈니스 모델을 추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IP의 경제적 가치와 콘텐츠 IP 콘텐츠는 물리적 속성을 가진 일반 재화와 달리 콘텐츠 자체에 의해 가치가 결정된다는 점에서 정보재(information goods)의 성격을 가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보재는 고정비용이 높고 한계비용이 낮아, 한계비용 이상의 가격을 받는 것은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생산자가 독점 이윤을 기대할 수 없다면 재화가 생산될 수 없다는 역설적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정보재 생산에 필요한 비용을 부담할 수 있도록 일종의 재산권을 부여하여 일시적 독점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2024. 3. 25. 콘텐츠 IP란 무엇일까? 원소스멀티유즈(OSMU) 웹툰을 드라마화하고 영화로 만드는 요즘입니다. 10년 전에는 마블 코믹스가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는데요, 이렇게 만화나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을 지식재산권(IP)이라 하고 이런 지식재산권(IP)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을 OSMU 라고 말합니다. IP 시대를 살고 있기 때문에 글을 통해 IP가 무엇이며, 콘텐츠 IP의 정의와 원소스 멀티유즈(OSMU)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콘텐츠 IP란? 지식재산(Intellectual Property)이란 인간의 창조적 활동 또는 경험 등에 의하여 창출되거나 발견된 지식, 정보, 기술, 사상이나 감정의 표현, 영업이나 물건의 표시, 생물의 품종이나 유전자원, 그 밖에 무형적인 것으로서 재산적 가치가 실현될 수 있는 것으로 지식재산기본법 제 3 조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2024. 3. 24. 광고란 무엇일까? 광고의 의미와 기초, 역할 예전 자료를 찾아보다가 광고에 대해서 정리해놓은 자료를 발견했습니다. 광고란 무엇이며, 광고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요약내용입니다. 다분히 이론적이지만 광고 홍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심리학에 이어 두 번째로 공유해봅니다. 단어로 보는 광고의 의미 광고는 영어로 advertising 입니다. 라틴어 ‘advertere’(마음을 향하게 하다), 독일어 ‘Die Reklame’(부르짖다), 한자로는 ‘廣告’(넓을 광, 알릴 고)인데 이렇게 의미를 살펴보면 광고는 반복하여 부르짖어 알림으로써 사람들의 마음을 향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광고와 유사한 단어 광고와 유사한 단어는 선전과 PR이 있습니다. 선전(propaganda)은 개인이나 집단이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자신들이 바라는 반응.. 2024. 3. 22. 아동 심리지원 서비스 지원방법 및 내용정리(우리아이 심리지원 서비스) 우리아이 심리지원 서비스는 지역사회투자 사업의 일환으로 2024년에도 시행되고 있습니다. 아이들의 정서적 불안이나 ADHD등과 같은 과잉 행동 장애가 보이면 어디서부터 도움을 받아야하나 고민이 되실텐데요,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해 지역사회에서 심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우처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가 우리아이 심리지원 서비스입니다. 2024년에 조금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참여하는 선생님들의 기준이 높아졌고, 제공 대상자의 소득기준 조항이 삭제되었습니다. 소득 기준에 따라 정부지원금의 차이는 있습니다만 선생님들의 기준이 높아져 기관마다 받는 비용의 차이가 있을 수 있도록 가격 탄력제가 2024년에 도입되었습니다. 하나씩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우리아이 심리지원 서비스 이용대상 우리아이 심리지원 서비스.. 2024. 3. 19.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