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32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의 정의와 근로 계약 시 주의사항 초보 사장님들을 위한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의 정의와 근로 계약 시 주의사항 정리해보았습니다.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근로기준법 제17조(근로조건의 명시)① 사용자는 기간제 근로자 또는 단시간 근로자와 근로 계약을 체결하는 때에는 다음 각 호의 모든 사항을 서면으로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 6호는 단시간 근로자에 한정한다.1. 근로계약기간에 관한 사항2. 근로시간, 휴게에 관한 사항3. 임금의 구성항목, 계산방법 및 지불방법에 관한 사항4. 휴일, 휴가에 관한 사항5. 취업의 장소와 종사하여야 할 업무에 관한 사항6.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 시간 [과태료(제24조)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기간제 근로자 및 단시간 근로자란?(1) 기간제 근로자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 2025. 4. 2. 초보 사장님들을 위한 근로계약서 작성과 근로계약 체결 내용 초보 사장님들을 위한 근로계약서와 근로계약 체결 시 주의해야 할 내용을 정리했습니다.경기가 어려워서 채용이 어렵지만 그래도 채용할 때 중요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근로계약서 관련 근로기준법근로기준법 제17조(근로조건의 명시)① 사용자는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에 근로자에게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명시하여야 한다. 근로계약 체결 후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1. 임금2. 소정근로시간3. 제55조에 따른 휴일4. 제60조에 따른 연차 유급휴가5. 그 밖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근로조건② 사용자는 제1항제1호와 관련한 임금의 구성항목, 계산방법, 지급방법 및 제2호부터 제4호까지의 사항이 명시된 서면(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전자문서를 포함한다)을 근로자에게 교부하여야.. 2025. 4. 1. 중소기업의 범위와 중소기업의 규모 기준, 예외 사항 알쏭달쏭한 중소기업의 범위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중소 기업의 범위(중소기업의 규모 기준)(1) 중소기업 규모 기준 : 매출액 등이 중소기업 규모 기준 이내이고 자산 총액이 5천억원 미만일 것 중소기업 기본법 시행령 별표 1, 주된 업종별 평균매출액 등의 중소기업 규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된 업종의 분류 및 분류 기호는 통계법 제 22조에 따라 통계청장이 고시한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릅니다. 표 제19호 및 제 20호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용신품의자제조업(C30393), 철도차량부품 및 관련 장치물 제조업(C31202) 중 철도차량 의자제조업, 항공기용부품제조업(C31322)중 항공기용의자제조업의 규모기준은 평균매출액 등 1,500억원 이하로 한다. (2) 실질적 독립성 기준 : 다음의 소유 및.. 2025. 3. 19. 개인기업과 법인기업의 차이, 주식회사의 특징과 설립 절차 정리 지난 글에 이어 사업자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개인 기업과 법인 기업의 차이와 주식 회사의 특징 및 설립 절차입니다.개인 기업과 법인 기업기업이란 인적 , 물적 자원 결합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을 의미합니다.기업은 설립주체 또는 소유형태에 따라 개인기업과 법인기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개인기업은 자연인인 개인이 기업의 소유주가 되고 기업활동에 관한 모든 책임을 지는 형태입니다. 개인기업은 설립이 용이하고 기업활동에 관한 의사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대규모의 자금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업을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 법인기업은 자연인인 개인이 아니라 법인이 인격을 부여 받아 기업활동의 주체가 되는 조직형태입니다. 개인기업에 비해 설립이 복잡하지만 기업에 참여하는 사람 .. 2025. 3. 14. 이전 1 2 3 4 ··· 33 다음 728x90 반응형